과제 : 저가 유저의 '장바구니 담기' 행동을 분석하고, 전환율 향상 전략을 도출한 하루

OWL NOTE·2025년 5월 7일
0
post-thumbnail

❔ 문제 정의

오늘은 가격에 민감하고 빠르게 구매를 결정하는 저가 유저(5만 원 이하 상품 대상자)를 중심으로, '상세페이지 진입 → 장바구니 담기' 전환율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?를 주제로 데이터 분석을 진행했다.


📌 데이터 분석 포인트

1. 저가 유저 정의
→ price_band = under_50k
→ 빠르게 판단, 빠르게 이탈하는 특징

2. 관찰 지표

  • 장바구니 담기 전환율
  • 상세페이지 체류 시간
  • 유입 채널
  • 리뷰 클릭 여부
  • 할인 노출 여부

📊 분석 결과 요약

항목인사이트
전환율전체 평균: 30.7%, 저가 유저: 33.1%
체류 시간0~30초 유저 전환율 39.6% → 빠른 결정자 존재
유입 채널자연 유입이 광고보다 전환율 높음
리뷰 클릭클릭 안 한 유저 전환율 ↑ (35.5%)
할인 노출노출 시 전환율 (34.6%)

💡 인사이트 해석

저가 유저는 고민보다 직관과 가격 인식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.
리뷰나 너무 많은 정보는 오히려 구매 결정 방해 요소.
할인, 간결한 정보, 빠른 CTA(Call-to-Action)가 핵심.


📝 오늘의 회고

  • '빠른 유저'에겐 빠른 설득이 답이다.
  • 리뷰나 정보는 반드시 '전환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' 노출되어야 함.
  •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막연한 전략이 아닌, 근거 있는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체감했다.
profile
학습하고 정리합니다

0개의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