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제품/서비스 개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계인 요구사항 분석과 요구사항 정의서(PRD) 작성법에 대해 배웠다.
이 과정은 단순히 기능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, 개발팀, 디자이너, QA, 그리고 모든 이해관계자가 같은 그림을 그리고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🔍 요구사항 분석이란?
요구사항 분석은 "우리가 정확히 무엇을 만들 것인가?"를 명확히 정의하는 작업이다.
✔️ 고객이 원하는 것,
✔️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,
✔️ 사용자가 기대하는 경험을 문서화함으로써,
모든 팀원이 동일한 목표를 향해 개발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.
📄 PRD란?
PRD는 요구사항 분석의 결과물을 정리한 문서로,
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지침서이자 커뮤니케이션 도구 역할을 한다.
🛠️ PRD 작성 항목 정리
✅ 1. 요구사항 항목
- 기능 이름 : 예) 회원가입
- 기능 설명 : 사용자가 이메일과 비밀번호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
- 우선순위 : 필수 / 권장 / 나중에 추가
- 구현 기준 : 비밀번호는 최소 8자 이상, 특수문자 포함 등
✅ 2. 프로젝트 개요
- 프로젝트의 목적과 핵심 기능, 타겟 유저 정의
예) 20대 직장인 여성을 위한 빠른 패션 쇼핑 앱
✅ 3. 서비스 배경 및 가치
-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사용자의 Pain Point
- 서비스가 가져올 변화와 가치 정의
✅ 4. 우선순위 및 릴리즈 계획
- 기능별 우선순위 정리
예시)
1순위 : 로그인/회원가입, 상품 검색, 결제
2순위 : 리뷰/별점 시스템
3순위 : 추천 알고리즘, 이벤트 배너
✅ 5. 기대 성과
- 서비스 출시 후 기대되는 변화, 수치적 목표 등
예시) 일일 방문자 1만 명, 전환율 3% 이상
⚠️ PRD 작성 시 주의할 점
- 모호한 문장 X
- ❌ “빠르게 로딩되도록 한다”
- ✅ “홈 화면은 3초 이내에 로딩되어야 한다”
- 기능 범위와 우선순위는 현실적으로 설정하기
- MVP 기준으로 꼭 필요한 기능부터 시작하고,
그 외 기능은 단계별로 릴리즈 계획 세우기